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Fedora9
- 래드햇
- IT
- Oracle VirtualBox
- 게스트확장설치
- vncserver
- 구글
- 옴니아2
- vncviewer
- omnia2
- 버추얼박스
- redhat
- IPSec
- 파이어폭스
- 테라텀
- 갤럭시노트
- Linux
- 파일질라
- Firefox
- ah
- 파이어폭스3
- TeraTerm
- Fedora15
- 리눅스
- ESP
- fedora14
- Security Association
- T43
- 갤럭시노트3
- VirtualBox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TeraTerm pro (1)
My Knowledge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7/27_21_9_9_blog65534_attach_0_14.jpg?original)
요세 보안 문제가 많이 중요해 지면서 서버에 접속할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Telnet보다는 SSH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추세 입니다. 그리고 SSH를 이용하여 접속을 할때에도 passphrase방식보다는 RSA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좀 더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서버에 SSH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법 (RSA 인증)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. RSA 방식은 공개키 암호화를 위한 알고리즘입니다. 즉 이 방식을 위해서는 공개키 (Public Key)와 개인키 (Private Key) 가 필요하다는 얘기입니다. (RSA 방식을 클릭하시면 wikipedia의 설명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 ) 이러한 키를 생성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은 여러가지가 있는데, 이 글에서는 ..
Application
2008. 8. 15. 23:50